잠실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레이크팰리스 등 잠실아파트를 전문으로 중개하는 잠실청운부동산(대표 김병수)는 잠실아파트 구입 시 세계적 부동산 경향을 분석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청운공인중개사 대표는 세계적인 부동산 트랜드 중 잠실아파트 투자에 적용할 수 있는 현상으로 대체투자로의 부동산, 에셋파킹 현상, 저금리 기조 유지, 성장 둔화 등을 들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우리나라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부동산 투자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부동산은 전통적인 투자처인 주식보다 수익률은 낮지만 비교적 안정적인 투자처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2018년 하반기 주식 급락과 부동산 규제 정책, 헬리오시티 입주 물량으로 부진했던 잠실아파트들이 최근 상승세로 전환하였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 청운부동산 측은 저금리 유지와 무역전쟁 갈등 해소에 따른 주가의 반전 등을 그 원인으로 지목하였습니다.
부동산 자산관리전문회사 에버브리즈의 CEO는 "2019년 주가가 급등하였지만, 미중무역전쟁, 유럽경기침체, IMF의 세계경제성장률 하향조정등으로 글로벌 경기 침체 혹은 둔화 가능성이 증대하고 있다. 따라서 그동안 경기호황에 대한 기대로 주식에 몰렸던 자금이 불안정성이 대두되며 안정적인 대체투자처인 부동산시장으로 전환되고 그 중에서도 수급법칙상 하방경직성이 뚜렷한 잠실 아파트로 자본이 집중되며 잠실 아파트 가격이 최근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청운공인중개사 측은 잠실아파트 가격이 여름까지는 원만하게 상승할 것으로 내다보았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 신조어 에셋파킹 현상을 꼽았습니다. 에셋파킹은 신흥국 등에서 주식 등으로 자산을 늘린 사람들이 안정적인 선진국 부동산을 사들이는 현상 등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도 부동산 경기 부양에 따라 지방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고 주식으로 높은 수익률을 올렸던 자산가들이 강남 부동산을 사들인 것도 이와 비슷한 현상으로 보여진다고 말하였습니다. 최근 중국 주식 시장이 턴어라운드 맞으며 이와 같은 에셋파킹 현상이 향후 다시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습니다.
에버브리즈 자산관리회사 CEO도 통계자료에 의하면 캐나타 벤쿠버의 2015년 부동산 거래의 33%가 중국인에 의해 이루어졌고 유입된 자금은 약 11조원이라고 전했습니다. 2016년 벤쿠버 부동산은 전년 대비 약 30% 상승하며 이머징마켓의 부호들이 안전한 선진국의 부동산을 사들였던 대표적인 예라고 설명했습니다.
브릭스 중 하나인 러시아의 자산가가 최근 강남의 한 아파트를 100억이 넘는 가격에 매입하면서 잠실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등 잠실아파트도 영향을 받았습니다.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 자산가들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해야 하고, 그들이 강남 3구 부동산을 사들이기 시작한다면 우리나라 중산층은 잠실아파트 구입 기회가 점점 사라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잠실청운부동산 김병수 대표는 "트럼프의 압박으로 미국이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기로 하였고, 우리나라도 최근 대출 금리가 떨어지는 등의 저금리 유지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것은 재정부양책이 줄어들면서 성장률 압박을 받아 경제가 둔화되었기 때문에 금리를 올리지 않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에 따라 2019년 하반기까지 글로벌 경기침체는 없을 것으로 세계적인 자산관리회사들은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도 최근 성장 친화적 정책을 펼 것으로 예상되어 빈부격차는 더욱 심해지고 부동산 자산 양극화 현상은 더 심해질 것으로 내다보았습니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대출 규제로 부동산 거품을 조금 뺄 수 있었지만 위와 같은 이유로 주식을 비롯하여 부동산도 다시 오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습니다.
(유)에버브리즈 CEO도 글로벌 경기 사이클 후반부이기 때문에 미국 등의 주식이 가파르게 오르는 것이고 이것이 부동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습니다. 올초에는 채권가격과 주식이 동시에 오르는 이례적 현상으로 어느 정도 글로벌 경기가 후반부에 이르렀음을 의미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어서 "정부의 대출과 억제 정책으로 잠실아파트 거품이 어느 정도 빠진 시점이 무주택자에게는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라고 말하며, 잠실아파트는 상승폭은 점차 줄겠지만 최대 몇 년 더 오를 수 있어 무주택자는 지금이라도 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레이크팰리스, 파크리오 등을 구입하는 것은 옳은 선택이라고 말했습니다.
청운공인중개사 측도 너무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잠실아파트를 구입하되 향후 몇 년 내에 올 수 있는 경제 위기나 금융 위기에 반드시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현재 상황에서 무주택자라면 잠실아파트를 대출을 끼고라도 사는 것이 좋고, 이후에는 주택 수를 함부로 늘려나가지 말고 어떠한 경제 상황이 오더라도 버틸 수 있도록 채권, ELS, 부동산리츠, 부동산펀드, 금 ETF, 헤지펀드, 롱숏펀드, 인버스펀드 등의 다양한 투자처에 조금씩 나누어 투자해두는 포트폴리오 전략을 취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상기 내용은 잠실청운부동산과 자산관리회사 Ever Breeze Inc.의 개인적 의견으로 법적 효력은 없습니다.
잠실 청운공인중개사 대표 김병수
(공인중개사, 공인세무회계2급 자격, 공인자산관리사 자격, AFPK 자격, 매경부동산자산관리사 자격, 서울시 지정 글로벌 중개사무소, 국토부 인증 우수부동산서비스 사업자)
www.zamsil.com
'잠실아파트 투자 및 세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바이러스, 잠실아파트에 부정적 영향 줄 것 - 잠실청운부동산 (0) | 2020.03.16 |
---|---|
고령화에 따른 잠실엘스, 리센츠 아파트의 미래 -잠실청운공인중개사 (0) | 2019.10.10 |
잠실엘스아파트 매수, 美-中 무역전쟁에 주목해야 - 잠실청운부동산 (0) | 2018.12.14 |
잠실아파트 2018년 하반기 상승하지만 신중히 접근해야 - 잠실청운부동산 (0) | 2018.08.25 |
많이 오른 잠실아파트, 2018년에 사도 될까? - 잠실청운공인중개사 (0) | 2018.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