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고령화는 그 진행속도에 있어서 세계적으로 심각한 수준입니다. 2025년에는 만 65세 이상 인구가 천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이에 대해 잠실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레이크팰리스, 파크리오 등 잠실아파트 투자가치도 고령화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됩니다.
고령화는 잠실아파트 가격에 긍정적인 요인이 되기도 하며 부정적인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단기적으로는 잠실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등은 단지적으로는 가격 하락은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그 이유에 대해 현재 우리나라 인구추세에서 35세 이상 인구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주택의 실수요층이 늘어나 잠실 지역 주택가격이 쉽게 떨어지지 않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인구구조 측면에서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들이 주택 수요가 2020년까지 이어져, 특별한 경제 변화가 없다면 2020년까지는 잠실엘스, 리센츠 등의 가격은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고령화는 단기적인 영향보다 장기적으로 잠실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며, 고령화에 대해 잠실아파트 시장의 영향은 단기적인 관점보다 장기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이 상승국면이 이미 끝나 답보 초기 상태라고 진단하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 수요도 수축 국면에 진입하여 상승 요인과 하락 요인이 상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잠실아파트는 장기적으로 2021년 이후에는 서울의 주택 공급이 적어 잠실엘스 아파트 등은 상승 가능성도 있지만 고령화로 인해 총주택수요의 크기는 작아질 것으로 보여 부정적인 요인도 함께 공존합니다.
따라서 2021년 이후에는 이러한 요인들이 상충되며 실수요층이 줄어들면서 급격한 상승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다만 고령화가 주택실수요 영향에 대한 여러가지 견해가 있어 2021년 이후 주택가격 예측은 쉬운 일은 아닙니다. 고령화는 주택서비스 수요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이자율(금리)를 하락시키는 요인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고령화로 인한 주택 하락 요인과 상승 요인이 동시에 내포된다는 것은 중요한 의미입니다.
패널회귀분석을 통한 연구에서 노년부양비가 1% 높아질 때 주택가격은 0.7%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나 잠실아파트 가격에 부정적인 요인이 됩니다. 그러나 주거비용과 소득 등을 고려할 때 주택수요는 지속되어 상당 기간 잠실엘스,리센츠 등의 주택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고령화로 인해 장기적으로 저성장·저금리 현상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주택가격은 장기적으로 상승률은 줄어드나 하락으로 이어지기는 힘들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고령화로 2020년 이후 전체적으로 부동산이 급등할 가능성이 적지만 상승 여력이 더 크고, 지역별 차별화(양극화)는 가중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고령화가 지속될수록 인기지역의 수요가 집중될 것으로 판단되며, 잠실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등의 잠실아파트도 그 지역 희소성 때문에 가치가 더 높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양극화 현상은 교통, 일자리, 교육허브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이 보통이므로 잠실엘스, 리센츠 등의 잠실아파트는 향후에도 가치가 있다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노령화는 공격적인 투자보다 안전한 자산 선호 현상을 부추겨 잠실아파트는 여전히 매력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선진국의 고령화로 인한 주택 가격의 영향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미국은 주택 버블 붕괴 후에 공급량을 크게 줄여 실질 주택가격이 회복 되었습니다. 반면, 일본의 경우에는 버블 붕괴 후에도 공급량을 일정하게 하여 주택가격이 완연히 회복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는 고령화 속도가 워낙 빠르기 때문에 고령화가 잠실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충격이 얼마나 클지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그러나 조심스럽게 예측을 하면 고령화로 인해 장기적으로 잠실아파트는 일본과 같은 거품 붕괴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고령화는 잠실아파트 주수요 증가세를 둔화시키기는 하지만 그 정도는 매우 완만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따라서 여러가지 부정적인 요인에도 우리나라 고령자들의 유동성 선호, 실수요보다 대체투자 선호, 공급 부족, 부동산자산 선호, 부채 감소, 자산 건전성 등을 종합해보았을 때 잠실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레이크팰리스, 파크리오 등의 아파트는 향후에도 가격 상승 가능성이 조금 더 높다고 결론할 수 있겠습니다.
상기 내용은 잠실청운공인중개사( www.zamsil.com )와 에버브리즈 자산관리 회사( www.ever-breeze.com )의 개인적 의견으로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법적 효력이 없습니다.
김병수 잠실 청운공인중개사사무소 대표, mail@zamsil.com
(공인중개사, 공인세무회계2급 자격, 공인자산관리사 자격, 투자자산운용사 자격, AFPK 자격, 공인신용관리사 자격, 매경부동산자산관리사 자격, 자산운용전문인력, 우수 부동산서비스 국토부 인증, 서울시 지정 글로벌 중개사무소)
'잠실아파트 투자 및 세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바이러스, 잠실아파트에 부정적 영향 줄 것 - 잠실청운부동산 (0) | 2020.03.16 |
---|---|
잠실아파트 세계 부동산 트랜드 분석하며 접근해야 - 잠실청운부동산 (1) | 2019.04.26 |
잠실엘스아파트 매수, 美-中 무역전쟁에 주목해야 - 잠실청운부동산 (0) | 2018.12.14 |
잠실아파트 2018년 하반기 상승하지만 신중히 접근해야 - 잠실청운부동산 (0) | 2018.08.25 |
많이 오른 잠실아파트, 2018년에 사도 될까? - 잠실청운공인중개사 (0) | 2018.04.06 |